-
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D%99%80%EB%9D%BC_%ED%98%B8%EB%A9%94%EC%9D%B4%EB%8B%88
루홀라 호메이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1902년 9월 22일 ~ 1989년 6월 3일, 페르시아어: آیتالله روحالله خمینی, 영어: Ruhollah Khomeini, 문화어: 아야톨라흐 이맘 코메이
ko.wikipedia.org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1902년 9월 22일 ~ 1989년 6월 3일, 페르시아어: آیتالله روحالله خمینی, 영어: Ruhollah Khomeini, 문화어: 아야톨라흐 이맘 코메이니)는 이란의 시아파이며 이란의 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몰아낸 1979년의 이란 이슬람 혁명의 정치 지도자 겸 종교 지도자이다.
1963년 샤 팔라비 국왕의 이슬람 성원의 토지, 재산 몰수와 여성 참정권 허용 정책에 반대하여 망명했다가 1979년 1월 16일 샤 국왕의 퇴위 후, 2월 1일에 귀국하여 죽을 때까지 이란의 최고지도자로 군림하였다.
호메이니는 많은 시아파 무슬림들에게 영적 지도자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지지자들 또한 이 관례에 집착한다. 그는 자신에게도 엄격하여 율법과 교리에 반하는 행동과 작은 뇌물 수수조차 엄격하게 처단하였다. 측근들의 비리에 냉혹하게 대처하여 가까운 친척, 측근들도 용납하지 않았다. 호메이니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 중 하나로 1979년 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에 오르기도 하였다.
1979년 1월 16일 샤가 혁명으로 퇴위하자, 2주 후인 1979년 2월 1일 15년의 망명 생활을 청산하고 이란으로 돌아왔다. 1979년 1월 16일 그는 민중의 지지를 얻어 이란의 최고지도자에 선임되었다. 그는 직책을 맡지는 않았지만 1980년 2월 1일 초대대통령 취임 시까지는 사실상의 정부 수반 역할을 하며 각국의 사절단, 외교가들을 접견하였다.
당시 서방 매체들은 6백만~8백만 명의 혁명세력이 그를 환영한 것으로 추산한다. 2월 11일 호메이니는 메흐디 바자르간을 총리로 한 임시 정부를 수립한다. 1979년 3월 30일과 3월 31일, 임시 정부는 16세 이상의 모든 이란 국민에게 새 정부형태로서 이슬람 공화국의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98% 이상이 왕정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교체하는 데 찬성하였다. 새로 작성된 헌법 초안을 승인하기 위한 선거들이 뒤이어 치러졌다.
헌법은 최고지도자와 함께, 매 4년마다 선출되는 대통령을 규정하고 있으나, 수호 위원회에 의해 간접적으로 승인된 후보들만 취임할 수 있다. 호메이니 자신은 "혁명 지도자"로서 종신 최고지도자가 되었다. 1980년 2월 4일 아볼하산 바니사드르가 이란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6881&cid=59014&categoryId=59014
아야톨라 루훌라 호메이니
[ 1979.1.16 호메이니가 주도한 혁명의 승리로 팔레비 왕조가 붕괴되다 ] 부패와 사치의 화신이었던 팔레비국왕은 1979년 1월 16일 전 국민의 거센 저항에 밀려 이집트로 피신했다. 이후 팔레비는 모�
terms.naver.com
팔레비 왕조가 붕괴되고 2주 후인 1979년 2월1일,15여 년의 망명생활을 마치고 테헤란으로 입국하는 호메이니. 입국 당시 비행기 안에서 촬영된 사진을 보면 창을 내려다보는 호메이니의 눈빛은 독수리처럼 날카로웠다. 옆자리에는 아들인 아마드가 역시 무거운 눈빛으로 창 밖을 응시하고 있다. 만감이 교차하는 순간이었다. 아수라장이 된 이란 재건의 희망으로 나타난 호메이니는 수백 만 명의 군중으로부터 환경을 받으며 이슬람 임시정부를 선포했고, 혁명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어 이란의 밤하늘에는 피바람이 불었다. 정권을 장악한 호메이니는 혁명 재판소를 설치하고 밤에 비공개로 진행되는 약식재판을 통해 팔레비 정권의 고위관리들 600명 이상을 총살했다. 또한 호메이니는 이슬람의 율법에 의한 국가 통치를 시작하였다. 즉 서구의 모든 가치관을 전면적으로 부인하고 여성들에겐 차도르를 쓰게 하고, 마약, 술, 담배, 서양음악은 엄격하게 제한했다. 호메이니는 1300년 전에 계시된 ‘율법의 나라’를 만들고자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야톨라 루훌라 호메이니 [Ayatollah Ruhollah Khomeini] - 이란 시아파 종교지도자 (인물세계사, 원재훈)